[서울=동북아신문]다람쥐 쳇바퀴 돌 듯하며 각박한 도시 생활에 찌들어 누구나 생각하며 마음에 그리는 것은, 저푸른 초원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살고 싶은 것이다.

이전에는 돈 많은 사람들이나 호숫가나 바닷가 또는 초원에 멋진 별장을 짓고 사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이제는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교통도 좋아져 누구라도 마음만 먹으면 전원주택을 짓고 살 만한 여건이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전원주택을 개발하거나 분양하는 업체들도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외국산 수입 통나무집이나 서구식 주택으로 일관하여, 단순히 외형적인 멋과 전원풍의 흉내만 내고 있는 실정이다.

단순히 초원 위에 집을 짓기만 하면 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전원주택이나 별장의 건축에 대해서는 주의할 점이 꽤나 많다. 입지 선정에서부터 좌향, 더 나아가 건축자재의 선택에 이르기까지 일반주택과 달리 풍수 이론을 가미하여 판단해야 한다.

보통 전원주택은 인적이 없는 강가, 바닷가, 또는 깊은 산골 등 산수나 풍광이 수려한 곳에 지으려한다. 하지만 풍수에서 중요시 여기는 바람의 경우 인간에게 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만 따르고 이롭지 않은 것은 비키거나 피하는 게 상책인 것이다.

전원주택지는 자연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환경이라 도심의 환경과는 현격한 차이가 난다.

산과 물을 끼고 수목이 많기에 낮과 밤의 온도 및 기압차가 심하며, 주야로 불어오는 바람도 다르기에 갑자기 변한 환경에 건강을 조심해야 한다.

이처럼 기온 및 기압의 변화가 심한 곳에서는 자연적으로 주변의 기압에 따라 신체가 변화에 적응 하기 위해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기에, 젊고 건강한 경우는 이런 변화에 별무리 없이 견딜 수 있지만 나이가 들거나 병약해진 경우는 급작스런 변화에 적응하기가 어려워 결국 병이 악화되거나 쇠약해져. 나이 들어 편하게 자연과 함께 즐기며 살겠다고 산속이나 강가, 호수에 전원주택을 지어 사는 것이 도시생활보다 못한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오히려 화를 불러올 수도 있다.

또 신토불이라는 말이 있다. 자신이 태어난 곳에서 나는 산물이 제일 적합하다는 말이다.

전원주택의 건축 자재를 수입품으로 사용한다는 것은 신토불이적 풍수론을 떠나서 여러 가지로 어긋난다 . 우리나라의 기후는 춘하추동 4계절이 명확히 구분되어 추울 때는 영하20도 이하로 떨어지고, 더울 때는 영상40도를 육박하여 온도차가 60도를 넘나든다. 이러한 기후의 변화에서 자란 목재나 자재가 우리의 건축물에 맞는 것이며, 우리의 체질에도 동화되는 것이다. 하지만 수입 목재는 덮거나 추운 지역에서 자란 것이 대부분이라, 우리나라의 기후 변화에 적응치 못하는 것은 당연하며 특히 외장 건축 자재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와 같이 눈으로 보기에는 산수와 경관이 뛰어난 천혜의 심산유곡이나 언덕, 해안 등은 별장이나 전원주택의 장소로서는 부적격한 경우가 많으므로 항상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입지인가 아닌가를 살핀 후 입지 선정과 건축자재를 선택해야 전원주택 생활의 진수도 향유하면서 생활의 보람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