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북아신문]풍수론의 시작은 자연의 이치와 섭리를 따르는 것이며 따라서 가장 중요시하는 것이 자연환경과의 조화이다. 우리나라의 자연 환경은 뚜렷한 춘하추동 4계절로 구별된다.

음력에서는 1년을 15일 정도의 간격으로 입춘부터 대한까지 24절기로 나누어지며 여기서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 계절과 계절의 변환 점을 나타낸다. 입춘은 겨울에서 봄으로 입하는 봄에서 여름, 입추는 여름에서 가을, 입동은 가을에서 겨울로 전환되는 기점이다.

이렇게 환절기에는 모든 것이 변화를 갖게 되는데 그것은 살아 있는 생명체이든 움직이지 못하는 부동산이든 마찬가지다.

이와 같이 구별되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인간을 포함한 만물이 변화를 갖는 것이며 또한 부동산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다. 한 예로 한여름이나 한겨울에 부동산이 움직이지 않고 3월과 4월, 9월과 10월이 이사철의 피크를 이루는 것도 계절의 변동과 무관치 않은 것이다. 그래서 부동산은 이사철에 왕성히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결국 부동산의 거래도 계절적 영향을 받는 것이다.

또한 건축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건축할 때 최적의 시기가 해빙기인 봄에 시작하는 것이 순리에도 맞는 것이며 후에 하자도 없는 견고한 건축물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한껏 추운 겨울철에 공사를 한다면 시멘트 콘크리트가 제대로 양생되기는 어려운 것이며 양생이 되더라고 봄철에 하자가 발생하는 것은 밤에 불 본 듯 뻔한 것이다. 더구나 춥고 짧은 낮 동안의 공사로 인해 효율성도 떨어져 공사비의 과다 지출과 공사의 부실로 인해 완공 후에도 만만치 않은 하자 보수비용의 지출을 감당해야 하는 것이다.

아무리 건축 기술이 좋다고 하여도 한겨울에 공사를 시작하는 것은 부실 공사를 재촉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또한 완공되는 시점도 어느 시점을 맞추는 가에 따라서 효과적인 활용성이 나는 것이다 . 겨울철이나 장마철인 여름에 완공을 한다면 분양이나 임대도 어려울 뿐 아니라 분양이나 임대가 안된다면 공실률에 대한 경제적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우를 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건축이나 부동산 거래를 할 때, 시기를 적절히 맞춰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깊이 생각하여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봄에는 전세 값이 오르고 여름이나 겨울에는 반대로 전세 값이 내리는 것은 계절적인 영향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부동산은 계절에 따라서 제각기 다른 모습을 나타낸다. 따라서 계절별로 나타나는 부동산의 특성과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식견이 있어야 한다.

만약에 봄에 부동산을 보고 샀다가 여름에 홍수가 져 매입한 부동산이 침수가 되는 경우가 된다든지, 부동산이 언덕 위에 위치하여 봄이나 여름에는 경치가 좋았는데 겨울철에 오르막길이 빙판길이 되어 자동차나 사람도 올라가지 못한다면 어떻겠는가.

이와 같이 계절에 따른 변화를 미리 파악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풍수와 부동산 그리고 계절에 따른 부동산과의 관계는 조금 멀리 보는 안목이 필요하고 풍수에서는 이러한 계절적 요인과 부동산에 대한 관계를 오랜 경험으로 설파하는 것이다.

부동산은 살아 있다. 때문에 부동산을 바라보는 시각을 현재에 국한하지 말고 계절의 변화에 따른 부동산 요인까지 보아 부동산의 거래와 건축 공사의 시기를 판단하는 거시적인 부동산 안목을 키워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c) 평화와 희망을 만들어가는 동북아신문,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