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북아신문]풍수는 음양의 이치에 따라서 정해진다.

하늘은 양이고 땅은 음이다. 가벼운 것은 양이고 무거운 것은 음이다. 양은 공급을 하고 음은 생산을 한다. 그러므로 하늘에서 태양의 양기를 공급하고 비(雨)도 내린다. 땅은 하늘의 기운을 공급을 받아 곡식을 생산한다.

이러한 순리에 의해서 인간도 음․양의 기운을 받으며 살아가는 것이다.

항시 땅과 접하면 살아가는 인간은 땅의 기운 즉 흙의 좋은 기운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아야 하기에 땅의 토질은 인간에 아주 중요하다.

좋은 땅은 붉은 윤기가 나며 황토색을 띠고 험한 바위가 없는 돌도 아니고 흙도 아닌 비석비토(非石非土)의 살아 있는 땅이다.

반면에 항시 습기가 차 물기가 있고 힘없이 푹푹 꺼지며 검은 색이 도는 땅은 죽은 땅이다.

피해야 할 토질을 살펴보면 하층부가 점토질로 되어 있어 배수가 원활히 되지 않아 항시 물기가 있어 습한 땅, 반대로 배수가 너무 잘되 항시 메마른 땅, 땅의 반 이상이 암석으로 되어 있는 암석토질, 모래가 많은 땅 등은 풍수상으로 피해야 할 땅이다.

이외에도 산업 폐기물이나 가정 폐기물을 매립한 매립장과, 썩은 흙, 폐토 같은 것을 습한 곳에 오래 방치하여 그 밑에 있는 땅은 좋은 땅이라 할 수 없다.

이런 땅은 지속적으로 해로운 가스가 발생하기에 난지도 같은 쓰레기 매립장터 인근에 아파트를 짓는다는 것은 풍수학을 떠나서 상식적으로 좋지 않다.

사람이 살기 좋은 토질이란 습하지도 건조하지도 않으며, 모래나 암석이 많지도 않다.

이러한 토질은 식물 발육도 좋고 풍수상으로 좋은 땅으로 보는 것이다.

결국 인간이 살기 좋은 토질은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습하지 않은 땅, 식물이 생장하기에 좋은 땅이다.

이러한 땅은 인간에 의해서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전에 헐벗은 산을 지속적인 식목으로 푸르게 만들었다. 그처럼 지속적인 환경 보전 운동으로 환경이 좋아지면 풍수상으로 음양이 조화된 상태가 유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함부로 자연 환경에 변경을 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자영환경에 변경을 가하면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통한 건강성 확보를 중시하는 풍수 이론상 배치되어 어떤 식으로든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이다.

땅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에너지를 생명력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풍수의 논리 구조는 인간이 생명력의 흐름인 땅의 생기를 받아서 사람과 삶터의 생명력과 건강성을 유지하려는 데 주력하는 것이다. 그래서 풍수는 자연의 질서와 인간의 질서를 혼융조화 시키고 땅과 인간과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통합시키고자 하는 사상이 된다.

풍수에서는 땅을 소유와 이용의 피동적 대상 즉 객체로 보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동기로 도기 때문에 인간과 자연은 공동운명체로서 하나가 된다.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