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재중한인연구 사업단 국제학술대회’서 박윤철 호서대 교수 주장

▲ 본격적인 학술토론에 앞서 인사말 하는 김윤태 동덕여대 한중미래연구소장
[서울=동북아신문]“연해지역으로 이주한 조선족은 지역사회에 주요 네트워크가 없다. 따라서 현지 진출을 원하는 한국기업은 한족과 친하게 지낼 수밖에 없다.”

지난 7월18일 동덕여대에서 열린 ‘2014년 재중한인 연구 사업단 국제학술대회’에서 김윤태 동덕여대 한중미래연구소장의 ‘재중 한국인 사회의 갈등과 통합’이란 주제발표 후 토론자로 나선 호서대 박윤철 교수가 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현지 조선족 동포사회와 재중한인사회의 관계에 대해 “재중한인에게 ‘현지 중국인과 가깝냐, 현지 조선족과 가깝냐’ 질문했을 때 ‘중국인과 가깝다’고 답한 사람이 많았다”는 김 소장의 발언에 대한 의견 제시인 셈.

박 교수는 “동북3성에 정착해 있는 조선족은 현지사회에 튼튼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며, “정착조선족과 타지로 이민한 조선족을 차별적으로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 소장은 “통합적인 재중한국인 사회 건설을 위해서 정부의 관심과 지원 하에 재외동포청과 같은 실질적인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그래야 여러 관련기관에 의한 중복투자를 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의 중국 조선족 출입국·체류·취업 관리정책, 1987~2014년’이란 주제로 발표에 나선 설동훈 전북대 교수는 “약 30년에 걸친 한국정부의 중국조선족 관련 이민정책을 검토한 결과 배제/포함의 2분법으로는 설명이 곤란했다”며, “정부가 왜 끊임없이 중국조선족을 포용하려 하면서도, 또 핵심영역에서는 배제하는가” 문제를 제기했다.

설 교수는 자신의 논문에서 사용했던 ‘위계적 민족(hierarchical nationhood)’ 개념을 제시하면서 “조선족동포에게 같은 민족(nation)이라는 입장에서 외국인노동자에 비해 좋은 조건의 비자인 H-2비자를 주었지만 국민(nation)일자리라는 차원에서 동포들의 취업과 체류에 제한을 두었다”며, “민족의 통일이라는 미래를 내다 볼 때 중국동포나 북한 탈북자 같은 소수자를 구분 위계화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제도적으로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학술대회는 ‘재중한인의 갈등과 통합에 대한 종합적 검토’라는 제목으로 두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김진환 명지대교수의 사회로 ‘재중한국인/재한조선족 이주과정에 나타난 갈등과 통합’이란 주제로 진행된 제1세션에서는 △재중한국인 현지사회에서의 갈등과 통합(김윤태, 동덕여대), △중화민국초 재만 한인사회의 갈등과 통합(김춘선, 연변대), 한국의 중국 조선족 출입국·체류·취업 관리 정책, 1987-2014년(설동훈, 전북대)이란 주제발표가 있었고, 박윤철 호서대 교수, 김주용 독립기념관 연구원, 김해성 지구촌사랑나눔 대표가 각각 토론을 했다.

백권호 영남대교수의 사회로 ‘재중조선족 이주과정에 나타난 갈등과 통합’이란 주제로 진행된 제2세션에서는 △재중조선족기업들의 현지네트워크 형성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백권호/문철주, 동아대), △조선족문학에 나타난 갈등과 통합(김춘선, 중앙민족대), 중국조선족 이주과정에 나타난 갈등과 통합(문형진, 동덕여대), △조선족문화속에 나타난 갈등과 통합 (박승권, 중앙민족대), △사회주의체제 건설시기 중국조선족 사회의 갈등과 통합(우병국, 동덕여대)이란 주제발표가 있었고, 김주원 현대중국연구소 연구원, 신규섭 한국외대 교수, 임형재 한국외대 교수, 신운용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안중근연구소 책임연구원, 공유식 한국외대 교수가 각각 토론을 했다.

▲ 학술대회가 끝나고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