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북아신문]행서체의 출현.

행서체는 한나라 때 출현하였는바 해서에서 비롯되였다고 보는것이 옳을것이다.다른 기원설도 있기는 하지만 신빙성이 결여하기 때문이다.행서체가 하나의 글자체로 형성되여 역사무대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거듭되는 발전,변화를 거쳐 동진시대에 이르러 성숙기에 접어들었다.행서의 첫번째 명가로는 한나라 때 류덕승을 꼽을수 있다.그의  작품은 전해내려 오는것은 없으나 출토된 민간인들의 그 시기 글씨들에서 보아낼수 있듯이 당시 행서의 기본 필법은 후기의 행서와 많은 점들이 일치함을 알수 있었다.삼국시기에 이르러 종요에 의해 재조명되여 진일보 발전을 가져 왔다.한나라와 삼국시기 위나라로부터 널리 유행되여 온 행서는 점차 발전하여 晉나라 때 행서제1고봉기를 맞이하였다.그 선두주자로는"이왕"이라 불리우던 왕희지와 그의 아들 왕헌지 부자이다.왕희지는 眞書와 행서의 체계를 확립시켰고 왕헌지는 행초서의 체계를 확립시켰다.진나라 이후의 행서는 이 두 체계속에서 부동한 서풍을 이루었다.왕희지는 일찍 유부인,장지,종요와 진한문각 그리고 법첩을 배워 그 체세를 연구한 끝에 자신만의 일가를 형성하여 "서성"으로 불리웠으며 "천하제일 행서"라는 이름을 얻은 "난정설"이란 필적을  남기였다.

행서의 분류와 그 특점

행서가 "二王"시대에 들어서서는 이미 규범화된 글자체로서 그 이후엔 새로운 글자체가 더 이상 나오지 않았다.그러나 행서의 풍격은 다종다양한 모습을 나타내였다.행서는 해서와 초서의 가운데 형태를 나타내는 글자체라고 할수있다. 행서는 한나라 때 劉德升이 창시자라고 전해지고 있다.행서는 두가지로 나누어 볼수 있는데 하나는 行楷이고 다른 하나는 行草이다.行楷는 행서속에 해서의 필의가 많이 내포되였는바 하나의 독립적인 글자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行草는 행서속에 초서의 필의가 짙고 초서와 같이 연결된 형태를 많이 나타낸다.리옹의 "岳麓寺碑"는 행해의 대표작이다. 행서는 서사과정에서 行筆시 필은 멈추지 않는다.가볍게 돌리고 무겁게 착지한다.구름이 흐르고 물이 흐르는것처럼 자연스레 필을 움직인다.행서는 해서필힉원칙에서 벗어나야 한다.提按은 행서에서 관건적인 필법이다.牽絲의 妙用이다.필획들의 연계에는 連筆과 筆斷意連이 있다.련필이란 획과 획사이를 거미줄같은 가는 선으로 잇는 현상을 말한다.필단의련이란 획과 획사이는 획의 연결이 없으나 내재적 함축에 의한 무형의 연결을 의미한다.즉 앞 글자의 마지막 획을 거두어 들일 때의 필행방향이 반드시 다음 글자획의 첫 시작점의 방향와 마주 보며 서로 호응관계를 이루는것을 말한다.행서는 해서처럼 독립된 낱개의 글자를 쓰는것이 아니라 連綿이 이어지는 형태로 서로간 호응관계를 나타내며 이어지지 않더라도 마치 이어진듯한 내적연계의 특점을 나타내고 있다.행서는 글씨의 체세가 소탈하고 구슬을 꿰놓은듯한 자연스런 형태를 나타낸다.행서는 결국 해서의 속사이다.빨리 쓴다는 뜻이다.곧 해서를 율동있게 표현한 글자체다. 用筆法에 있어서 해서에처럼 中鋒,逆入平出,提按,藏鋒 등 필법을 쓴다.

     왕희지의 작품

행서의 대가들

1.王羲之(기원305-365)산동 림의사람이다.자는 일소이고 왕우군이라 불리워 진다.그이 대표작으로는 "난정서"로 유명하다.그이 돌출한 업적은 옛것에 따라 새로운 자기것만의 행서를 창립한데 있다 그의 대표작 "蘭亭序"는 "천하제1행서"라 불리운다.그의 다른 행서필적으로는 "頻有哀禍帖","孔侍中帖","平安帖"있다.2.王獻之(기원344-386) 진나라 사람이고 자는 자경이고 왕희지의 일곱번째 아들인데 동진시기 걸출한 서법가이다.그의 작품으로는 鴨頭丸帖,十二月帖,中秋帖,地黃湯帖,동산첩 등이 있다.왕희지의 글씨가 행해의 특점이 짙은 반면 왕헌지의 글씨는 행초의 특색이 짙다.3歐陽詢(기원557-641)당나라 사람인데 자는 신본이고 호남장사 사람이다.그의 대표작품으로는 張翰帖,夢奠帖,卜商帖이 있다.4陸柬之(585-638) 당나라 시기 소주사람이다.생서체의 전해진 작품으로는 文賦가 있다.5李邕(기원678-747)북해의 태수로 있었으므로 리북해라고 부르기도 한다.전하는 작품으로는 李思訓碑,麓山寺비가 있다.6안진경(기원675-747)자는 청신이며 산동림의사람이다.안진경은 서법사상 이왕후의 또 하나의 우뚝 솟은 봉우리요 기치이다.그가 남긴 세편의 행서작품인 祭姪文稿 爭坐位稿 告伯父文稿는 그의 작품들 중 가장 우수한 작품이며 제질문고는 천하제2행서로 부리운다.7楊凝式.오대시기의 그는 당나라의것을 이어받아 송의 시대를 열게 한서법가로서 그의 대표작은 구화첩이 있다.8蘇軾(기원1036-1101)은 송나라 때 사람으로서 자는 자잠이거 사천미산 사람이다.그의 대표작으로는 黃州寒食詩帖이며 천하제3행서로 불리운다.다른 작품으로는 致長官董候閣下가 있다.9黃廷堅(가원1045-1105)자는 노직이며 강서수수 사람이다.그의 대표작으로는 松風閣詩卷,伏波神祠詩,黃州寒食詩跋 寒山子龐거士詩 등이 있다.10米불(기원1051-1107)자는 원장이며 호북삼양 사람이다. 수십편의 작품이 있느네 대표작으로는 소溪詩卷 蜀素帖이 있다.11趙孟부(기원1254-1322)자는 자앙이며 절강오강 사람이다.그의 전해진 작품은 많은데 대표작으로는 歸去來兮辭이다.12董其昌(1555-1636)자는 현재이며 상해송강 사람이다.그는 행초서를 잘 썼는데 대표작품으로는 入定帖이 있다.13張瑞圖(기원1571-1644)자는 무화이며 복건진강 사람이다.그의 대표작으로는 五律詩軸이 있다.14黃道周(기원1585-1646)자는 유평이며 복건장포 사람이다.그의 대표작으로는 行書立軸이 있다.15王鐸(1592-1652) 자는 각사이며 하남맹진 사람이다.글의 대표작으로는 爲宿松書詩軸이 있다.16何紹基(1299-1873)자는 자저이며 호남도주 사람이다.그의 대표작으로는 行書四條屛이 있다.

                     안진경의 작품

행서는 우리 생활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을만큼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잡은 글자체이다.시간적으로 다른 글자체에 비해 속사할수 있다는 점이 실용성이 보다 높다.또한 배우기도 다른 글자체보다는 상대적으로 용이하다.그렇다고 아무런 법칙없이 마음대로 쓸수 있다는건 아니다.그에 고유한 서사규칙이 있고미적요구가 있다.

행서를 마감으로 한글서예의 판본체와 궁체를 알았고 한자서법의 전서체,예서체,초서체,행서체,해서체도 알게 되였다.여기에다가 갑골문까지 더하면 여덟체가 되는것이다.어디까지나 대체적인 줄거리만 서술하였으므로 미비한 점들이 적지 않을것이다.관심있는 분들께서는 유관 자료를 통해 구체적으로 한층 깊이 요해하도록 해도 좋을것이다. 모르는것 보다는 좀 더 아는것이 본인에게는 도움이 될것이고 밉지 않은 글씨체를 간직하고 있다는 자체가  모르게  지식인으로서의 품위를 향상시켜 줄것이다.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