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설가 정세봉
[서울=동북아신문]중국 조선족 소설가 정세봉(74) 씨의 문학세계를 정리한 평론집 '문학 그 숙명의 길에서'(신세림출판)가 국내에서 출판됐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출신의 정 씨는 문화대혁명 이후 등장한 문학사조인 '상처문학' 분야에서 조선족 작품을 처음 알린 '하고 싶던 말'과 이후 반성문학 사조의 대표작으로 불리는 '볼셰비키 이미지'를 저술해 조선족사회뿐만 아니라 중국 문단에서도 화제가 된 작가이다. 1975년 등단 이래 40여 편의 소설을 발표했고 옌볜문학상, 배달문학상, 제1회 중국소수민족문학상 등 16개 문학상을 받았다.  평론집에서는 조선족 대표작가로 불리는 김학철을 비롯해 한광천 흑룡강신문사 사장, 임규찬 성공회대 교수 등 30여 명의 작가, 언론인, 평론가, 학자 등이 칼럼·평론·인터뷰 등을 통해 정 작가의 문학세계를 조명하고 있다. 옌볜작가협회 부주석을 역임한 이상각 시인은 "농민작가 출신인 정 씨는 빈틈없이 따지는 과학적 태도를 견지하면서 작가적 양심을 지켜온 대표적 문인"이라고 소개했고, 김학철 작가는 "'볼셰비키의 이미지'가 문단에서 필화직전까지 갔던 이유는 '거짓말을 안 한 죄'"라고 언급했다.  
 
 평론가 이시환은 "개혁개방의 물결 속에서 변모하는 조선족 사회를 가감 없이 그려낸 전형적인 리얼리즘 작가"라고 평가했고, 한광천 사장은 "역사를 마주한 사명감으로 글을 써온 그는 성공작보다는 문제작을 더 많이 세상에 선보였다"고 분석했다.  편저에도 참여한 정 씨는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현대사의 다양한 질곡을 헤쳐온 조선족의 삶을 글로 옮기는 것은 나의 숙명"이라며 "등단 후 40여 년 소설가로서 살아온 삶과 작품 세계에 대해 칭찬과 격려뿐만 아니라 혹평까지 가감 없이 담았다"고 밝혔다.  조선족 문단 유력 문예지인 옌볜문학의 편집 당당을 역임했던 정 작가는 2005년 옌볜소설가학회를 설립했고 '김학철 문학상'을 제정하는 등 조선족 문학의 저변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그는 해방 후 국군과 인민군으로 갈라선 형제가 6·25 전쟁에서 서로 총부리를 겨뤘던 아픈 가족사를 소재로 한 장편 소설을 집필 중이다. 부록
문학, 그 숙명(宿命)의 길에서
-정세봉과 그의 문학   * 권두언
<창밖, 아득한 야공(夜空)엔 새벽 별이 빛난다> -정세봉
[축하신] 남영전선생 메시지 1. 칼럼, 인터뷰, 작가 일화, 창작담....
[칼럼] 얼음장이 갈라질 때(外4篇)-김학철
[수필] 우리 문단의 자랑, 정세봉-리상각
[작가일화] 소설가 정세봉-정판룡
[인터뷰] 정세봉의 <볼쉐위크의 이미지>-김철호
[축사] 조선족문학의 금자탑을 쌓아올리는 소설가-림승환
[수필] 또다른 화려한 시작-김옥희
[수필] 소설 《<볼쉐위크>의 이미지》의 풍파-조성일
[창작담] 진실만이 보석처럼 빛을 뿌린다-정세봉
[창작담] 《나는 어떻게 되여 <<볼쉐위크>의 이미지>를 쓰게 되였는가?》[발췌]-정세봉 2. 중단편소설집 <불쉐위크의 이미지> 출간에 즈음하여
[평론] 우환적인 영혼-김원도
[평론] 작가 정세봉과 그의 소설세계-조성일
[평론] 령혼의 현대적갱생을 위한 처절한 몸부림-장정일
[평론] 정세봉과 그의 문학세계-김호웅
[평론] 의식 있는 작가, 한 리얼리스트의 외로움과 용기-이시환[한국]  3. 정세봉의 단편소설에 대한 평(評)
[평론] 소박하고 아름다운 인간의 승리-장정일
[평론] 새롭게 변화되고 있는 농촌의 인간관계-김봉웅
[평론] 終于說出的心底話-庹修明
[평론] 시대의 락오자의 형상-장정일
[평론] 정세봉과 그의 단편소설에 대하여(발췌)-김호근
[심사평] 만화적인 진실-조윤호, 장정일(글)
[평론] 숭배사상과 본능적인 욕망의 경계-김춘택
[평론] 중국 반사문학의 문맥에서 본 조선족의 반사문학-김관웅, 허정훈
[평론] 정세봉의 단편 「빨간 크레용태양」론-심종숙[한국]
[평론] 정세봉의 문제작 「고골리 숭배자」를 읽고서-이시환[한국]
[평론] 추락을 향유하다-장정일
[평론] 고골리의 그림자-허승호  4. 중편소설 <볼쉐위크의 이미지>에 대한 비평(批評)
[평론] 정세봉의 야심작 << <볼쉐위크>의 이미지>>에 대한 評-허승호
[평론] 력사를 마주선 작가적 사명감-한광천
[평론] 력사 현실 인생-최웅권
[평론] 력사외 현실 그리고 인생-최삼룡
[평론] 력사적착오, 문화적반성-방룡남
[평론] << <볼쉐위크>의 이미지>>의 이미지-리종섭
[평론] 연변문학의 민족성과 시대성-임규찬 [한국]
[평론] 정세봉의 중편소설 『볼셰비키 이미지』에 나타난 대립과 화해의 구도-심종숙[한국]
[평론] 역사의 천사와 직업으로서의 작가-이혜진[한국] 5. 대학생 론단
[평론] 정세봉소설의 예술적특성에 대하여-김 영
[평론]《〈볼쉐위크〉의 이미지》의 문화적반성-조영욱
[평론] 정세봉의 “하고싶던 말”과 진국개의 “나는 어떻게 해야 되나요?”를 비교하여-리 영* 정세봉 연보(年譜)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