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북아신문] 오늘의 고사성어 야단법석은 들 야, 단 단, 법 법, 자리 석으로 이루어졌는데 한자 표기로는 野壇法席, 중국어 간체자 표기로는 野坛法席, 병음표기로는 yě tán fǎ xí이다. 그 뜻은 시끄럽고 떠들썩한 분위기를 말한다.

바깥마당에 자리를 마련하여 부처님의 말씀을 듣는 자리’라는 뜻이다. ‘야단(野壇)’은 ‘야외에 세운 단’을 말하고 ‘법석(法席)’은 ‘불법을 설하는 자리’를 일컫는다. 법당 공간이 비좁아 많은 사람들이 다 착석할 수 없기에 마당에 단을 펴고 설법을 펼치고자 하는 것이다. 그만큼 말씀을 듣고자 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석가가 야외에 단을 펴고 설법을 할 때 최대 규모의 사람이 모인 것은 영취산(靈鷲山)에서 《법화경(法華經)》을 설법했을 때로, 무려 300만 명이나 모였다고 한다. 사람이 많이 모이면 당연히 무질서하고 떠들썩하고 시끄럽다. 이와같이 경황이 없고 시끌벅적한 상황을 일컬어 비유적으로 쓰이던 말이 대중화되어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게 되었다.
그 쓰임새를 예로 들자면 이러하다. <자, 그만 조용들 합시다. 별일도 아닌 것 가지고 왜 이리 야단법석 합니까?>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