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2003-12-15

중국사, 중국의 논리는 무엇인가?’를 주제로한 학술토론회에서 중국이 고구려사를자국사로 편입하려는 시도에 맞서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이들 주장의 핵심을 파악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서회장은 미리 배포한 발표문에서 “중국은 20년 이상 수백편의 논문을 통해서고구려사가 중국사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를 계속해 왔다”면서 “그 연구사를분석.정리하는 것이 선결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동북공정(東北工程)’프로젝트가 고구려사 연구의 핵심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틀린 주장”이라면서 “고구려 연구는 동북사범대학, 길림성사회과학원, 통화사범대학 고구려연구소 등에서 꾸준히 진행돼 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중국이 처음부터 고구려사를 중국에 귀속시켰던 것도 아니었다면서 1963년 8월23일부터 1965년 7월19일까지 북한과 중국이 공동으로 실시한 조.중공동고고학발굴대의 경우 “북한은 압록강 북쪽의 역사 유적에 대한 답사와 발굴이라는 성과에다 유물을 직접 북한으로 가져올 수 있었고 광개토대왕비 원석탁본도 입수”하는등의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서회장은 동북사를 한족 위주의 역사로 재구성한 중국의 선구자격 역사학자 김육불의 경우에도, 그가 1941년 가을 삼태동북대학에 부임하면서 책으로 낸 「동북통사」에 보면 “고구려는 백제와 함께 부여족이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그는 “1979년 북한이 주체사상에 입각해 대외투쟁의 관점에서 고구려사를 다룬「조선전사」를 내놓아 중국 학자들을 자극”한 것이 고구려의 중국 귀속문제를 다루게 된 계기였다고 분석하며 “1993년 심양동아연구중심 설립을 기점으로 귀속문제가본격적으로 논의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는 같은 내용이 중복으로 다뤄지는 등 허점이 많다”면서 “국내에서도 현재 확보된 자료를 잘 활용할 경우 이를 앞서는 연구가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회에서는 중국측이 귀속문제를 연구한 논문 295편의 목록도 발표될 예정이다.

한편 고구려연구회는 오는 23일께 국회에서 ’한중고구려유족 현황과 대책’을 주제로 공청회를 개최하며 내년께에는 이 문제를 다루는 국제학술대회도 열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