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북아신문] 기적과 재난으로 용을 쓰던 경인년은 서서이 뒤안길로 접어들고
희망과 기대로 부푸는 신묘년이 살며시 사립문 앞에 다가 왔습니다.
신묘년벽두에 토끼의 이야기로 토끼와 인간의 인연을 살펴봅시다.

우화: 토끼전

용왕의 딸이 몹쓸 병에 걸렸다. 토끼의 간이 명약이라 하여, 용왕은 만조백관을 불러 뭍에 사는 토끼의 간을 어떻게 구할 것인가를 논의한다. 그 끝에 자라는 막중한 임무를 맡고 뭍으로 나온다. 자라는 감언이설로 토끼를 유혹하여 용궁으로 데리고 들어온다. 토끼는 물 속으로 들어와서야 자기가 속았을 뿐만 아니라 목숨이 위태롭다는 것을 알아 차린다. 그러나 꾀 많은 토끼는 자기의 간을 노리는 자들이 많아서 평소에 늘 숨겨놓고 다닌다고 거짓말하여 위기에서 벗어나 뭍으로 돌아온다.

판소리: 수궁가
구토설화의 근원이 된 《삼국사기》김유신 열전을 보면, 김춘추가 백제에 복수하려고 고구려로 청병하러 갔다가 오히려 고구려 옛 땅을 반환해달라는 요구를 받고 붙잡히는 몸이 되었다. 그때 김춘추는 고구려를 탈출하기 위해 고구려 신하 선도해(先道解)에게 술대접을 해주었다. 구토설화는 그때 술 취한 선도해가 김춘추에게 들려준 <토끼와 거북이>이야기였다. 김춘추는 거기서 토끼의 지혜를 얻어 고구려를 탈출해 나왔다.
'구토지설'은 그 후 '토끼전', '별주부전' 등의 제목을 달고 세상으로 퍼진다.
이 이야기는 후세에 판소리 '수궁가'로 널리 불린다.

전설: 달 속의 토끼
우리 조상들은 토끼가 주는 순결함과 평화로움 때문에 일찍이 토끼를 이상향에 사는 동물로 만들어 놓았다. 옛 사람들은 달을 늘 이상향으로 그렸고, 그 이상향에는 계수나무와 함께 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다고 했다.
토끼는 달 없이는 못 산다. 그래서 암토끼는 수컷이 없어도 달과 교합하여 새끼를 낳는다고 했다. 토끼가 어두운 밤 달나라에서 방아 찧을 수 있는 것은 눈이 그만큼 밝기 때문이다. 그래서 토끼의 눈을 명시(明視)라고 하였다.

풍속과 토끼
토끼는 묘(卯)인데 음력으로는 2월, 시간으로는 오전 5시부터 7시 사이를 가리킨다. 음력 2월은 농사가 시작되는 달이고 묘시는 농부들이 논밭으로 나가는 시간이니 토끼는 성장과 풍요를 상징하게 된 것이다.

상묘일(上卯日)은 토끼날이다. 이날을 특히 톳날구기라고 하여 남의 여자가 자기 집에 와서 오줌 누면 좋지 않다 하여 여자들은 바깥 나들이를 삼가 하였으며, 아침에 남자가 대문을 열어야 일년 내내 집안이 편안하다고 했다. 토끼날 실을 짜거나 옷을 지으면 무병장수한다고 하였다.

토끼는 깨끗하고 귀여운 이미지로 인해 특히 공예품에 많이 그려지고 새겨졌다. 국보 청자칠보투각향로의 받침도 토끼상이고, 연적으로도 토끼상을 많이 쓰고 있다.

토끼 꿈은 두 가지고 해몽된다. 토끼는 앞발이 짧아서 오르막을 잘 올라간다. 그래서 토끼 꿈은 승진을 의미한다. 그러나 토끼의 입은 윗입술이 세로로 찢어져 있어서 태몽으로 꾸면 언청이 자식을 낳는다고 했다. 악몽을 꾸었을 때는 소금을 대문간에 집어넣거나 문밖에다 세 번 뿌린다.

토끼는 민담만큼이나 속담에도 많이 등장한다.
토끼잠이란 토끼처럼 깊이 잠들지 못하고 아무데서나 잠깐 눈을 붙이고 자는 잠을 말한다.
'토끼가 제 방귀에 놀란다'는 속담도 있다.
토사구팽(兎死狗烹)이라는 말도 있다. 이는 토끼를 다 잡으면 사냥개를 삶아먹는다는 중국의 고사성어다. 즉 필요할 때는 소중히 여기다가도 그 일이 끝나면 천대하거나 없애버린다는 뜻이다.

[저작권자(c) 평화와 희망을 만들어가는 동북아신문(www.dba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