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리유라(한국 중앙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중)

자고로 풍경과 산수는 화가들이 즐겨 사용해온 소재로서 오늘날 그것은 자연의 단순한 재현을 넘어 끊임없이 재탐색되고 있다.

풍경과 산수 모두가 동일하게 자연을 묘사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서양은 풍경화라 부르고 동양에서는 산수화라 일컫는 이유는, 풍경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자연을 화폭 속에 가두어 곁에 두려는 소유의 대상으로 간주되는 반면, 동양의 산수는 자연을 실내에 두고 그 속으로 들어가고자 하는 합일의 자연관에서 이해되는 데 있다.

즉 서양의 풍경은 자연을 정복과 대립의 대상으로 인식하여 취하는 것이라면, 산수는 인간이 자연과 합치하려는 물아양망의 원리를 지향한다. 물론 이는 원칙적인 의미에서 짓는 구분이지만 동일한 자연물을 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두 장르의 표현방식이 서로 다를 수밖에 없는 연유 또한 이 때문이다.  

전영걸의 작품은 바로 이러한 두 가지 서로 다른 가치체계와 조형원리의 융합이자 절충이다. 그는 그림의 바탕으로서 캔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극히 서양적인 재료 위에서 동양의 화론으로 질료적 실험을 전개한다. 이러한 시도는 동양화와 서양화의 이분법적인 구분을 무화시키려는 그의 창작이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의 작품 속에서는 '동양화'의 방법론과 '서양화'의 매체(媒介)가 서로 상충하지 않고 묘한 일체감을 이루고 있다. 한눈에 그의 그림은 동양화의 경영위치(經營位置)를 취하고 있음을 보아낼 수가 있다.

하여 산수의 포국(布局)에 익숙한 관객들에게 그의 그림은 친숙하다. 화면은 여러 방향의 시점을 동시에 보여주면서 관찰자의 시선을 끊임없이 이동시키는 전형적인 산점투시법(散點透視法)을 채택하고 있는바, 이러한 관찰법은 동양의 ‘소요유(逍遙遊)’ 이념을 시각화하여 정신적 자유해방을 추구하려는 정통 산수화의 방법론과 맥을 같이 한다.

그러나 그의 그림은 산수화의 지필묵(紙筆墨)이 아닌, 유화재료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보는 이에게 생경함을 불러일으킨다. 바로 이러한 친숙함과 낯설음이 교차되어 일궈내는 조형언어가 그의 그림에서 주목해볼 만한 특징이다.  

또한 캔버스의 바탕에서 유화안료가 만들어내는 번짐효과는 서양화에 익숙한 눈으로 보면 동양의 발묵(潑墨) 효과로 보이고 동양화의 운필에 익숙한 자가 보기에는 서양의 스푸마토 기법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화가는 자신이 다루는 화법에 있어 동서양의 전통적 규범을 뛰어넘어 다양한 장르 사이를 떠도는 유목민과도 같은 태도를 취하고 있다.

전영걸의 그림은 때로는 관객을 가까이 다가가게, 때로는 멀어지게 한다. 야산의 우거진 숲과 웅덩이 그리고 여백의 구획을 보여주는 능선 등은 다소 비현실적이고 몽환적인 느낌을 주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만들어내는 화면은 어디선가 본 듯한, 한번쯤은 그 곳을 밟아보았을 듯한 친숙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들은 추상과 구상 사이의 간극에 대한 화가의 관심이자 이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경계에 대한 호기심의 표출로 보여진다.

전영걸은 자신의 작품세계에 대해 “나는 자연을 경외의 대상으로 관조하고 그 속에서 느꼈던 감정들을 풍광을 빌려 재해석하려 한다. 기억과 느낌을 되살리는 장치로 당시 찍어둔 사진에 근거하여 그림을 그리지만 결국은 번번이 사진과는 다른 예상 밖의 결과물을 얻게 되었다.”라고 말한다. 여기서 ‘풍광을 빌렸다’는 ‘차경(借景)’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말하자면 화가는 자연을 소재로 삼아 그것을 화폭에 옮기면서도 현실의 자연대상으로부터 벗어나 의상(意象)을 드러내는 방법을 채택한 것이다. 이때 화폭 위에 펼쳐진 이미지들은 현실의 자연 속 요소들과 더불어 화가가 개입시키는 정신적 이미지와 어우러져 실험적이고 독자적인 차원의 양식으로 정착된다.  

전영걸(全永杰) 화백 프로필 

1970년, 길림성 룡정 출생.

1996년, 길림성예술대학 연변분원(현 연변대학 예술학원) 미술학부 졸업.

현재 연변인민출판사 장정미술설계실 주임으로 재직중.

길림성 장정설계협회 부주석

연변미술가협회 부주석 

연변주장백산조형예술연구원 부원장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