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업 시인  전 길림시조선족문화관 관장

제63장 어려움과 쉬움

원문:

爲無爲,事無事,味無味.大小多少,報怨以德.圖難於其易,爲大於其細.

天下難事必作於易.天下大事必作於細.是以聖人終不爲大,故能成其大.夫輕諾必寡信.多易必多難.是以聖人猶難之,故終無難矣.

원문 번역:

도모하지 않는 것으로 도모하고, 일이 없는 일을 하고, 맛이 없음을 맛으로 여기라.

작은 것을 크게 여기고 적은 것을 많게 여기라(큰 것은 작게 만들고 많은 것은 적게 만들라). 불쾌한 일은 좋은 일로 갚아 주라.

어려운 것은 쉬운 데서 도모하고 큰 것은 작은 데로부터 도모하라. 어려운 일들은 쉬운 데로부터 시작해야 하고 세상의 큰 일은 작은 일로부터 시작해야 하느니라.

하기에 득도한 성인은 큰 것을 도모하지 않기에 큰 것을 이룰 수 있게 되느니라.

승낙을 쉽게 하면 믿음성이 적고, 쉬운 일이 많으면 자연 어려움도 많게 되느니라.

득도한 성인은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이 많기에 어려운 일이 없게 되느니라.

풀어보기:

큰 일이라고 크게만 시작되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큰 일이라고 할지라도 작은 일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고 해도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에서, 그리고 자기가 쉽게 할 수 있는 일에서부터 손을 대면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큰 데만 집착을 하지 말라는 말이다. 그리고 큰 것만, 어려운 것만 보지도 말라는 말이다. 어려운데 쉬운 일이 있고, 큰데 작은 일이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작은 데서 시작했다고 해서 작은 일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작고 쉬운 일에서 시작해서 크고 어려운 문제룰 풀어나갈 수 있는 것이다. 어려운 점만을 보고 있기만 한다면 우리는 아무 일도 해 나갈 수 없을 것이다. 우리가 일을 해 나갈 수 있는 것은 작고 쉬운 일에서, 자기가 할 수 있는 일부터 손을 대 해나가기 때문일 것이다. 작고 쉬운 일을 하는 데서 크고 어려운 일의 해결책을 찾아내게 되고, 또 크고 어려운 일을 해 나갈 수 있는 방법도 알게 되는 것이다. 사물과 일의 이중성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쉬운 일도 어려운 일을 해나가듯이 조심스럽고 꼼꼼하게 하고, 작은 일도 큰 일을 대하듯이 근엄한 마음으로 해나가기에 어려운 일이 없게 되고 작은 일 역시 없는 것이다. 회사 운영에는 작은 일, 큰 일이 없다. 다만 먼저 해야 할 일과 뒤에 해도 되는 일이 있을 뿐이다.

키워드:

報怨以德: 불쾌한 일은 좋은 일로 갚아 주라. 

남이 자기를 나쁘게 대했다고 그를 나쁘게만 대하지 말라, 관용과 너그러움으로 이해해주고 안아 주라. 사장의 인자하고 너그러운 마음을 강조하는 대목이다. 직원이 자기를 불쾌하게 만들었다고 해서 그를 밀어버리면 사장은 직원을 영영 잃게 된다. 자기를 불쾌하게 만들었던 직원이 자기를 유쾌하게 만들도록 하는 사장이 회사를 잘 운영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天下難事必作於易: 어려운 일들은 쉬운 데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어려운 일도 쉬운 데서 손을 대서 시작함으로 풀어나갈 수 있다는 말이다. 어려운 일을 꼭 어렵게만 풀어나가라는 법은 없다. 어려운 가운 데 쉬운 부분이 있고, 쉬운 가운 데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이다. 단일한 안광을 버리고, 이분법의 사유방식을 가지라는 말이다.

輕諾必寡信: 쉽게 하는 약속은 믿음성이 적다. 

약속을 인차 받아들인다고 해서 믿은 성이 적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전후 좌우를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응낙만 하는 약속을 말하는 것이다. 자기가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승낙을 한다면 그런 약속을 지키기는 너무도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신용에 비상이 걸리게 된다. 무조건 된다고만 할 때, 조심성을 강조하면서 이런 말을 종종 한다. (계속)

 

전경업 프로필
전경업, 남, 1959년 흑룡강성 녕안시 출생.자유기고인.
길림시비물질문화유산전문가위원, 길림시제1기사회과학전문가뱅크성원(2018년, 민속문화류).
전문서 “거꾸로보는 도덕경”(연변인민출판사)과 중문시집”2017”(상해문예출판사), “경업의 시”, “아내”, 영문시집《SAFE HARBOR:LIFE WITH MY OLD LADY》(신세기출판사) 등과 번역서 “양극의 현상태”, “당대시경”(공역), “은신술”, “항복기심”, “선용기심”, “무주기심” 등 50여권이 있음
.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