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북아신문] '민주주의 서밋'은 어디에서 유래는 이러합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민주주의에 가한 상처를 치유하고 민주주의와 인권 수호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재확인하겠다"는 바이든의 2020년 선거 캠페인 공약이었습니다.

그러나 첫 번째 정상 회담은 암울하게 끝났습니다. 당시 많은 국가들이 참여를 거부했고 공식적인 성과도 없었습니다. 미국 언론조차도 그런 의미 없는 정상회의를 왜 두 번째로 개최해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절차적으로 보면, 1차 정상회담에서 750개 이상의 약속을 했으니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관련 작업을 진전시키기 위해 또 한 번의 회의가 필요한 것은 당연합니다.

개념적으로 민주주의는 미국의 건국과 설립의 근간이 되는 미국의 주류 가치이며 정치적 올바름에 속하는 가치이기도 합니다. 민주당은 민주주의와 인권을 특히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는 당의 전통을 형성해 왔습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행정부는 미국 민주주의의 퇴보를 가져 왔으며 미국은 스스로 치유해야합니다. 동시에 바이든 행정부와 미국 전략 커뮤니티는 세계 민주주의도 퇴보하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소위 "민주주의 정상 회담"을 사용하여 국내와 세계에서 소위 민주주의 대의를 홍보하기를 원합니다.

둘째, 바이든은 자신의 개인적 명성을 높이고 재선을 위해 자본을 축적하려고 합니다. 대외적으로 바이든은 미국의 리더십 지위를 공고히 하고 강대국 경쟁 전략을 보완하고자 합니다.

'민주주의 정상회의'는 세계 민주주의를 증진하려는 시도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세계 지도자로서 미국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감소하는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바이든 행정부의 주요 외교적 움직임입니다. "특히 새로운 맥락에서 우크라이나 위기를 민주주의와 권위주의(권위주의)의 반대되는 내러티브를 계속 재구성할 기회로 삼는 것은 강대국의 전략적 경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바이든은 집권 이후 이념과 가치 외교를 강조해 왔으며 "소위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반복적으로 개최하는 것은 동맹 체계를 공고히 하고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고 미국의 패권을 유지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