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한일(中韓日) 청소년 도덕 교육 비교와 그 상호 보완 문제에 대하여  
함혜선(咸慧善) 흑룡성 녕안진수학교 교연원 

         함혜선 흑룡강성 녕안시 교사진수학교 교연원. 

[서울=동북아신문] 사회가 부단히 발전함에 따라 청소년 도덕 교육도 많은 문제에 직면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청소년의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의 안정과 발전에도 영향을 미친다.

10대의 초‧중학교 학생들은 모호한 도덕 인식을 갖고 있고, 도덕 신념이 희미하며, 자기에 대한 성찰을 잘할 줄 모르기에 도덕교육을 제때에 하지 않으면 사회에 해를 끼치는 사람이 될 수가 있다. 이를테면 “사람의 본성은 이기적이다. 사람은 자기를 위하지 않으면 하늘과 땅의 징벌을 받는다”, “규율은 사람을 구속하는 틀이다, 규율의 구속을 받지 않아야 자유롭고, 실속 있다”, “인생불락하면 청춘을 헛되이 보낸다”,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 의리를 지켜야 한다”, “남에게 굴복하면 업신여김을 당한다”라는 인식이 그러하다.   

청소년 학생 중 품성이 불량한 학생들의 도덕적 신념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약하고 고상한 정신적 요구가 부족하며 큰 이상이 없다. 조국의 미래, 인류의 진보, 개인의 앞날은 일체 생각하지 않고 쉬이 범죄를 저지르게 된다.  

이는 가정교육 및 학교 교육의 부재, 사회 환경의 영향 등의 문제로 발생된다. 따라서 중국과 한국 및 일본 청소년 도덕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교육자들로 하여금 그 내용과 방법들을 상호보완하면서 청소년 도덕교육을 깊이 있게 진행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아다시피, 한중일 3국은 아시아 3대 국가로서 문화, 역사, 사회 등의 방면에서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으며, 도덕교육은 국가발전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각각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아래에서는 교육 목표, 내용 및 방법, 특성 등 네 가지 측면을 비교하여 교육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추가 개발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기로 한다. 

교육 목표
중국의 도덕 교육은 항상 전통적인 유교 사상을 핵심으로 하여 인애, 충효, 예절 등의 가치관을 강조해 왔다. 이 교육 방법은 도덕 규범과 행동 강령의 함양에 중점을 두고 도덕성과 행동 습관을 갖춘 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의 도덕 교육은 집단주의와 단결된 협동심을 기르고 어른을 존중하고 남을 배려하는 등의 가치관을 강조한다. 이 교육 방법은 학생들의 사회적 책임감과 팀워크를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고 사회적 적응력과 대인 관계가 좋은 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본의 도덕교육은 개인의 수양과 자율을 중시하며, 타인에 대한 존중, 성실, 신용 등의 가치관을 강조한다. 이 교육 방법은 학생들의 자제와 자기관리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사회적응력과 대인관계 능력이 좋은 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렇게 한중일 3국의 도덕 교육 목표는 각각 특색이 있지만, 모두 시민의 도덕성과 행동 습관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그 중 중국의 교육목표는 전통문화의 계승을 중시하는 반면 일본과 한국은 현대사회의 적응력을 중시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교육 내용
중국의 도덕 교육의 내용은 주로 전통 미덕, 사회 공중 도덕 및 가정 미덕을 포함한다. 또한 법률 상식, 정신 건강 등에 대한 교육도 실시한다.  

한국의 경우는, 주로 집단주의, 단결, 협동, 어른 존중 등의 교육이다. 그 밖에 직업윤리, 사회적 책임감 등에 대한 교육도 포함된다. 

일본의 경우는 주로 타인에 대한 존중, 자율, 정직, 신뢰 등의 방면의 교육이며, 그 밖에 대인관계, 사회적응 등에 대한 교육도 포함된다. 

이상 비교를 통해 우리는 한중일 3국의 도덕교육 내용은 제각각 중점을 갖고 있지만, 기본적인 도덕규범과 사회공덕의 함양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교육 내용은 전통적 미덕과 사회적 공중도덕 함양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일본과 한국은 현대사회의 적응력과 인간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 방법
중국의 도덕 교육 방법은 주로 강의실 강의, 도덕 교육 과정 등을 통해 전수된다. 또한 도덕 교육 실천, 가정 교육 등의 교육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면 한국의 교육 방법은, 주로 강의실 강의, 그룹 토론 등을 통해 전수된다. 그 밖에 가정교육, 지역사회 활동 등의 교육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일본의 도덕 교육 방법은 주로 수업 토론, 사례 분석 등을 통해 전수된다. 그 밖에 사회실천, 봉사활동 등에 대한 교육방법도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한중일 세 나라의 도덕 교육 방법은 각각 특색이 있지만, 모두 이론과 실천의 결합을 중시하여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 그 중 중국의 교육 방법은 교실 수업과 도덕 교육 실천의 결합에 더 중점을 두는 반면, 일본과 한국은 사회 실천과 자원 봉사 활동 등 실천적인 교육 방법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중한일 도덕교육의 특징 
먼저 ‘가정교육 관념’에 대해 알아보자. 
가정 교육은 청소년 도덕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다. 중국의 가정 교육에서 부모는 일반적으로 효도, 어른 존중, 정직 및 신뢰와 같은 도덕적 품질 함양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반면 일본의 가정교육은 자율과 책임감 함양, 개인의 행동과 말의 규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의 가정교육은 개인의 성장과 독립성을 강조하고, 청소년의 자주 의식과 자립적 사고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학교 교육 방식’을 살펴 보자.  
학교 교육은 청소년 도덕 교육의 주요 경로 중 하나이다. 중국 학교 교육에서 도덕 교육과정은 일반적으로 필수 과목으로 간주되며 학생들의 도덕 관념과 행동 규범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일본과 한국에서 학교는 일반적으로 학문적 지식의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독일 교육 과정은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을 기울인다. 또한 학교는 다양한 동아리 활동, 사회 실천 등을 통해 학생들의 협동심과 공익 의식을 함양하고 있다.  

세번째는 ‘소셜 네트워크의 영향’을 보자. 
소셜 네트워크는 현대 청소년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중국에서 많은 10대들은 소셜 네트워크를 자신을 과시하고 친구를 사귀고 즐길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간주한다. 일본과 한국에서 소셜 네트워크는 정보 교환 및 학술 토론에 더 많이 사용된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익명성은 청소년들이 사이버 괴롭힘, 악의적인 공격과 같은 나쁜 행동을 쉽게 할 수 있다. 

네번째는 ‘도덕관념’을 비교해보자. 
전반적으로 한중일 청소년들의 도덕관념에 차이가 있다. 중국 청소년은 효도, 어른 존중 등 전통적 미덕을 더 중시하고, 일본 청소년은 자율과 책임감을 더 중시하며, 한국 청소년은 개인의 성장과 독립성을 더 중시한다. 이러한 차이는 어느 정도 다른 국가의 문화적, 사회적 배경의 차이를 반영한다. 

이렇게 한중일 3국의 청소년들은 도덕관념에 일정한 차이가 있는데, 이는 주로 서로 다른 문화, 역사, 사회적 배경에서 비롯된다. 청소년 도덕 교육을 더 잘 진행하기 위해서, 우리는 다음 몇 가지 방면에서 착수할 수 있다.

청소년 도덕 교육의 방향 
첫째, 가정교육 개념의 지도를 강화하고 청소년의 도덕 개념과 행동 규범을 함양한다. 부모는 도덕 육성에 주의를 기울이고 솔선수범하며 청소년들이 올바른 가치와 인생관을 확립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학교 교육의 중요성을 높이고 도덕 교육과정을 필수 과목으로 삼고 다양한 동아리 활동과 사회 실천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학생들의 협동심과 공익 의식을 함양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비행 및 사이버 괴롭힘과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감독 및 관리를 강화한다. 동시에 학교와 부모는 청소년이 소셜 네트워크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정보 식별 능력과 네트워크 소양을 향상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요컨대, 한중일 3국의 청소년들은 도덕관념에 일정한 차이가 있지만, 이러한 차이는 문화적 다양성의 구현이기도 한다. 가정 교육, 학교 교육 및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감독 및 관리를 강화함으로써 우리는 청소년들에게 좋은 도덕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올바른 가치와 인생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함혜선 프로필
흑룡강성 녕안시 교사진수학교 교연원. 
전 연변 룡정시 북신소학교 담임교사. 
길림성 교수 능수. 
길림성 ‘소학교 조선어문 교수 최우수 과당’ 수상.  
전국 소학교 교육 논문 1등상 수상. 

저작권자 © 동북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